•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Subsurface Utility Detection Using GPR with Respect to Dielectric Constant Variations

    유전상수 변화에 따른 GPR 기반 지중관로 탐사 효율화 연구

    Haeju Do, Tae-Min Oh, Dong-Hyun Lee, Hee Hwan Ryu

    도해주, 오태민, 이동현, 류희환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is a technology that analyzes reflected waves generated by propagating radar signals into the ground or a structure. …

    GPR(Ground Penetrating Radar)을 활용한 지반 탐사 기술은 레이다를 지반이나 구조물로 전파하여 반사파를 분석하는 기술이다. GPR 탐사 기술은 비파괴적으로 지질 구조 및 지하 …

    + READ MORE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is a technology that analyzes reflected waves generated by propagating radar signals into the ground or a structure. GPR is widely used as a nondestructive method for detecting geological structures and underground utilities. The dielectric constant is a key factor in GPR technology, as it determines the resolution of the electromagnetic waves and the quality of the raw data. Therefore, when conducting GPR exploration, the effect of the dielectric constant must be considered, and numerous studies have addressed this issue. However, previous studies only studied how to calculate the ground dielectric constant under laboratory conditions, meaning that extensive preliminary investigations are still required in practic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dielectric constant suitable for GPR exploration was calculated by analyzing the quality of raw data according to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grou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calculating the ground dielectric constant in on-site ground exploration using GPR.


    GPR(Ground Penetrating Radar)을 활용한 지반 탐사 기술은 레이다를 지반이나 구조물로 전파하여 반사파를 분석하는 기술이다. GPR 탐사 기술은 비파괴적으로 지질 구조 및 지하 매설물 등의 위치 파악 목적으로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유전상수는 전자기파와 원시데이터의 해상도를 결정하는 GPR 기술의 주요인자이다. 따라서 GPR을 활용한 지반 탐사를 수행할 때, 그 지반의 유전상수에 대한 영향을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의 유전상수 산정 방법은 현장에서 신속하게 할 수 없어 많은 사전 조사들이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반의 유전상수에 따른 원시 데이터의 품질을 분석하여 현장 지반 탐사 적합 유전상수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GPR 기술을 활용한 현장 지반 탐사를 위한 지반 유전상수 산정의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COLLAPSE
    31 August 2025
  • Fundamental Study on the Dynamic Behavior of a Compacted Bentonite Buffer Using Kinematic Hardening

    이동 경화 모델을 활용한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동적 거동 평가에 관한 기초연구

    Sung In Cho, SeonHong Na

    조성인, 나선홍

    The deep geological disposal system is a facility designed to permanently isolate high-level radioactive waste at depths greater than 500 m underground. …

    심층 처분 시스템은 지하 500m 이상의 대심도에 설치되어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영구적으로 격리기 위한 시설이다. 이 시스템은 심층 암반으로 구성된 천연방벽과 고준위 폐기물이 …

    + READ MORE
    The deep geological disposal system is a facility designed to permanently isolate high-level radioactive waste at depths greater than 500 m underground. This system consists of a natural barrier formed by deep rock and an engineered barrier, in which the waste container is protected by a buffer material. Compressed bentonite is currently being considered as a candidate buffer material. Given the recent increase in seismic activity in Korea, it is crucial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such facilities against large-scale earthquakes, particularly in light of their required semipermanent lifespan. This study present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into the dynamic behavior of compressed bentonite buffer under large-scale seismic loading. Dynamic numerical analyses are conducted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incorporating both the elastoplastic behavior of the buff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seismic waves. To more realistically capture the response of the buffer under cyclic loading, a kinematic hardening model is adopted. Moreover, to simulate extreme seismic scenarios, input ground motions are adjusted to 10 levels of peak acceleration, ranging from 0.05 to 0.5 g. The results of the time history analyses reveal stress–strain hysteresis and swelling behavior within the buffer material under dynamic loading. Furthermore, it is confirmed that the buffer maintained a relatively stable stress–strain response under seismic excitations observed in Korea.


    심층 처분 시스템은 지하 500m 이상의 대심도에 설치되어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영구적으로 격리기 위한 시설이다. 이 시스템은 심층 암반으로 구성된 천연방벽과 고준위 폐기물이 저장된 용기를 감싸는 공학적 방벽으로 구성되며, 후자는 완충재로 압축 벤토나이트 적용이 검토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 지진 발생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반영구적인 수명이 요구되는 심층 처분장의 대규모 지진에 대한 안정성 평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대규모 지진에 대한 동적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유한요소법을 기반으로 탄소성 거동 및 지진파 특성을 반영한 동적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반복 하중에 따른 완충재의 비선형 거동을 보다 합리적으로 모사하기 위하여 이동 경화 소성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극한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최대 진폭이 0.05g에서 0.5g까지의 10종의 보정 지진파를 입력하여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결과, 완충재 내에서 동적 하중에 의한 응력-변형 이력 현상과 더불어 팽윤 특성이 관찰되었으며, 국내에서 발생한 실제 지진파에 대해서는 비교적 안정적인 응력-변형 거동을 유지함을 확인하였다.

    - COLLAPSE
    31 August 2025
  • Numerical Analysis Study on the Reduction of Frost Penetration Behind Retaining Walls Using PCM-infused Mortar Panels

    PCM 혼입 모르타르 패널 적용에 따른 옹벽 배면 동결영역 저감 효과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Hyeon-Jae Woo, Gyu-Hyun Go, Jae-Min Lee, Seong-Kyum Kim

    우현재, 고규현, 이재민, 김성겸

    Recently, abnormal weather events have become more frequent worldwide, and the incidence of extreme cold waves during winter has been increasing in …

    최근 세계적으로 이상 기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특히 국내에서는 겨울철 극한 한파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극한 한파에 의해 발생하는 지반의 동결-융해는 …

    + READ MORE
    Recently, abnormal weather events have become more frequent worldwide, and the incidence of extreme cold waves during winter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The freeze–thaw cycles of soil caused by such cold waves can cause serious damage to ground structures. In particular, when it occurs in the backfill soil behind a retaining wall, these cycles may significantly compromise wall stability due to changes in soil pressure and bearing capacit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of applying panels made of phase change material (PCM) mixed with cement mortar to retaining walls as a measure to prevent damage to structures caused by freezing and thawing. The effectiveness of this approach in reducing the frozen area is quantitatively evaluated through laboratory experiments and numerical analyses.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thermal buffering performance of the PCM panel effectively reduced the frozen area in the backfill soil, demonstrating its effectiveness. This method is expected to be applied as a measure to prevent freezing–thawing damage to structures in cold regions.


    최근 세계적으로 이상 기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특히 국내에서는 겨울철 극한 한파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극한 한파에 의해 발생하는 지반의 동결-융해는 지반 구조물에 심각한 손상을 야기한다. 특히 옹벽 배면에서 동결-융해가 발생할 경우 토압 및 지지력의 변화로 인해 옹벽의 안정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결-융해에 의한 옹벽 구조물의 손상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상변화 물질(PCM)과 시멘트 모르타르를 혼합한 패널을 옹벽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효과적으로 동결 영역을 저감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실험 및 수치해석을 통해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먼저 PCM 시멘트 모르타르 공시체를 제작하여 동결 챔버를 이용한 동결 실험을 수행하였고, 계측된 온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PCM의 열적 완충 성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계측된 온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PCM의 상변화 특성 및 열적 완충 성능을 모사할 수 있는 수치해석 모델을 구축하여, 모델의 정확성과 예측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이후 검증된 모델을 활용하여 PCM 패널 적용 여부에 따라 옹벽 배면 지반 내 온도 분포와 동결 영역 등의 변화를 비교 평가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PCM의 열적 완충 성능에 의해 배면 지반 내부에서 동결 영역이 효과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PCM 패널의 열적 완충 성능의 실효성을 나타내며, 향후 한랭 지역의 지반 구조물의 동결-융해 손상 방지 대책으로써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COLLAPSE
    31 August 2025
  • Physical Characterization of Tunnel Backfill Materials under Mixing Conditions

    터널 뒤채움 재료의 배합 조건에 따른 물리적 특성 분석

    Tae-Young Kim, Hee-Hwan Ryu, Seon-Ah Jo, Haejin Lee, Song-Hun Chong

    김태영, 류희환, 조선아, 이해진, 정성훈

    In the shield TBM method, filling the tail void with backfill grout is critical to ensuring the long-term stability of the tunnel …

    쉴드 TBM 공법에서 테일보이드(tail void) 내 뒤채움재의 충전은 터널의 장기적 안정성과 지반 침하 방지를 위한 핵심 요소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뒤채움재의 유동성과 강도 …

    + READ MORE
    In the shield TBM method, filling the tail void with backfill grout is critical to ensuring the long-term stability of the tunnel and preventing ground settlement. However, no defined standards exist for quantitatively evaluating the engineering performance of backfill materials, such as their flowability and strength. Existing test methods are typically designed for cement mixtures with very low w/c ratios and therefore do not adequately account for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involved in practice (e.g., hardening agents, mixing time, and the order of additive incorporation). This study quantitatively investigates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field-applied two-component backfill grout as a function of cement type, w/c, and hardener-to-water ratio (H/W), under mixing sequences and stirring durations designed to reflect their chemical properties. In particular, this study presents foundational data for optimal mix design by deri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lowability and compressive strength, thereby ensuring adequate workability while satisfying the required strength.


    쉴드 TBM 공법에서 테일보이드(tail void) 내 뒤채움재의 충전은 터널의 장기적 안정성과 지반 침하 방지를 위한 핵심 요소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뒤채움재의 유동성과 강도 등 공학적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명확한 기준은 미흡한 실정이다. 기존 시험 방법은 주로 매우 낮은 w/c 조건의 시멘트 혼합 재료에 한정되고 실제 시공에서 사용되는 화학적 특성(예: 경화제 조성, 교반 시간, 첨가제 투입 순서 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현장에서 사용되는 이액형 뒤채움재를 대상으로, 재료의 화학적 특성을 고려한 혼합 순서 및 교반 시간 조건 하에 시멘트 종류, 물-시멘트비(w/c), 경화제-물비(H/W)에 따른 재료별 공학적 특성을 정량적으로 비교하였다. 특히 유동성과 압축강도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함으로써, 일정 수준 이상의 유동성을 확보하면서도 요구 강도를 만족시키는 최적 배합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 COLLAPSE
    31 August 2025
  • Study on Deep Learning-Based Image Analysis for Structural Vibration in Dynamic Centrifuge Modeling

    동적원심모형실험 시 구조물 진동 계측을 위한 딥러닝 기반 이미지 분석 기법 연구

    Seung-Jae Han, See-He Han, Yun Wook Choo, Jung-Eun Kim, Susik Yoon

    한승재, 한세희, 추연욱, 김정은, 윤수식

    A deep learning-based image analysis approach, You Only Look Once (YOLO), was adopted to quantify the dynamic displacement of a structure in …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 기반 영상 분석 기법인 You only look once(YOLO)를 활용하여 동적원심모형실험 상의 구조물 진동 변위를 측정하였다. 해당 기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

    + READ MORE
    A deep learning-based image analysis approach, You Only Look Once (YOLO), was adopted to quantify the dynamic displacement of a structure in centrifuge model tests. To verify the method’s effectiveness, a vibration excita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prior to its application in the centrifugal model test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proposed YOLO-based model exhibited high stability and accuracy, outperforming conventional tracking software. In the centrifuge model tests, the approach that combined direct accelerometer measurements with preprocessing via a deep image enhancement technique achieved the highest accuracy, with an error rate of 7.096%. Additionally, fast Fourier transform analysis revealed comparable frequency characteristics, further validating the method’s reliability.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 기반 영상 분석 기법인 You only look once(YOLO)를 활용하여 동적원심모형실험 상의 구조물 진동 변위를 측정하였다. 해당 기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진동 가진기 실험을 선행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 YOLO 기법으로 개발된 구조물 인식모델은 기존의 상용 트래킹 소프트웨어에 비해 우수한 안정성과 정확성을 보였다. 이후 원심모형실험에 이 기법을 적용하였고, 가속도계 이미지를 직접 인식하는 기법과 전처리 방식 중 가장 높은 정확도를 나타낸 Deep Image Enhancement 기법을 결합하여 평균 오차율 7.096%을 달성하였다. 또한 고속푸리에변환을 통해 유사한 주파수 특성이 도출되어 본 기법의 신뢰성을 추가로 입증하였다.

    - COLLAPSE
    31 August 2025
  • Boiling Stability Evaluation during Excavation in Alternating Sand–Clay Ground

    사질토와 점성토가 교호하는 지반의 굴착공사시 보일링 안정성 평가

    Hyeonsu Yun, Seong-Kyu Yun, Deokung Ma, Ji-Gun Chang, Gichun Kang

    윤현수, 윤성규, 마덕웅, 장지건, 강기천

    With ongoing urbanization, the demand for underground space has increased, making the stability of ground excavation works increasingly critical. In alternating sand–clay …

    도시화에 따라 지하공간 개발이 증가하면서 지반 굴착공사의 안정성이 중요해지고 있다. 사질토와 점성토가 교호하는 지반에서는 보일링 현상의 발생 위험도가 높으며, 실무에서는 Terzaghi 간편식과 …

    + READ MORE
    With ongoing urbanization, the demand for underground space has increased, making the stability of ground excavation works increasingly critical. In alternating sand–clay ground, the risk of unexpected boiling phenomena is particularly high. In practice, Terzaghi’s simplified method and seepage analysis are commonly applied; however, the criteria for incorporating the cohesion of clay layers remain unclear, often resulting in under-design or overly conservative embedment depths. This study conducted seepage analysis of a construction site in Busan, incorporating permeability coefficients, seepage pressure locations, and clay cohesion. The results show that when the excavation bottom is composed of sand, the safety factor obtained from the simplified method is comparable to that from the seepage analysis, indicating the simplified method is suitable. However, when the excavation bottom is clay, the safety factor from the seepage analysis is lower, indicating the need for a more conservative design approach to ensure boiling stability.


    도시화에 따라 지하공간 개발이 증가하면서 지반 굴착공사의 안정성이 중요해지고 있다. 사질토와 점성토가 교호하는 지반에서는 보일링 현상의 발생 위험도가 높으며, 실무에서는 Terzaghi 간편식과 침투해석을 적용하여 보일링 안정성을 평가한다. 그러나 보일링 안정해석시 점토층의 점착력 적용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과소 설계 또는 과도한 근입깊이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부산OO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투수계수, 침투수압, 점착력을 반영한 침투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굴착저면이 모래층인 경우 간편식과 침투해석 결과가 유사해 간편식 적용이 가능하지만, 점토층의 경우 침투해석 결과가 더 낮아 보일링 안정성 확보를 위한 보수적 설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COLLAPSE
    31 August 2025
  • Evaluation of Geotechnical Design for Suction Anchor Installation in Clay for 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s

    점토지반에서 부유식 해상풍력 석션앵커의 설치 시 지반설계 평가

    Woo-Young Kim, Na-Young Jung, Won-Hyo Lee, Dae-Hwan Kim, Tae-Hyung Kim

    김우영, 정나영, 이원효, 김대환, 김태형

    This study evaluates the geotechnical design of suction anchors for 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s in clayey soils. It addresses key aspects such …

    본 연구는 점토지반에 부유식 해상풍력 석션앵커를 설치하는 것에 대한 지반설계 평가 연구를 수행하였다. 석션앵커 착지, 자중에 의한 관입, 부압에 의한 관입, 재설치 …

    + READ MORE
    This study evaluates the geotechnical design of suction anchors for 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s in clayey soils. It addresses key aspects such as anchor touchdown, penetration by self-weight and suction, and reinstallation considerations. The allowable excess pore pressure at each depth, based on anchor penetration, is determined using the soil’s lower-bound shear strength. During suction-assisted penetration, suction pressure must not exceed cavitation pressure, particularly in shallow soils. Reinstallation should occur within one day of retrieval, considering clay sensitivity to lateral shear. Although clay has greater erosion resistance than sandy soils, scour and trenching will eventually develop and must be incorporated into the design. Anchor tilt and misorientation should remain within recommended limits. When the seabed slope exceeds 5°, tilt increases and requires review. Anchor length should be determined with consideration of slope, alignment errors, scour, and ground heave.


    본 연구는 점토지반에 부유식 해상풍력 석션앵커를 설치하는 것에 대한 지반설계 평가 연구를 수행하였다. 석션앵커 착지, 자중에 의한 관입, 부압에 의한 관입, 재설치 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앵커 착지 후 관입깊이에 따른 지반 깊이별 허용 과압은 지반의 전단강도 하한값을 이용하여 결정한다. 부압을 이용한 앵커 관입 시 얕은깊이 지반에서 허용 부압이 공동압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앵커 재설치는 앵커가 해저에서 회수된 후 1일 이내에 재설치가 필요하고 앵커의 측면전단에 대해 점토의 예민비를 고려해야 한다. 점토 지반은 침식 저항성이 모래질 퇴적지반에 비해 크나 진행 속도가 느릴 뿐이며, 궁극적으로 세굴 및 트렌치는 발생하므로 설계에서 고려해야 한다. 앵커의 수직도와 회전오차는 권장기준에서 제시한 허용기준 내에 설치가 필요하다. 해저면 경사가 5°를 초과하면 수직도 오차도 증가하므로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 해저면 경사와 앵커 수직도 및 회전오차, 세굴, 앵커 내부의 지반 융기 높이 등을 고려하여 적정 앵커 길이 산정이 필요하다.

    - COLLAPSE
    31 August 2025
  • Evaluation of CNN Applicability for Cavity Location Classification Using Infrared and GAF Images

    적외선 이미지와 GAF 이미지를 활용한 공동 위치에 따른 CNN 적용성 평가

    Byeong-Su Jang, Won-Woo Choi, Hyung-Koo Yoon

    장병수, 최원우, 윤형구

    Due to climate change and underground development, various geotechnical issues are emerging, and infrared technology is increasingly being utilized to address them. …

    기후 변화와 지하 개발 등으로 인해 지반에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적외선이 활용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 위치에 …

    + READ MORE
    Due to climate change and underground development, various geotechnical issues are emerging, and infrared technology is increasingly being utilized to address them.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hermal energy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underground void locations by applying infrared techniques. To efficiently process the visual data, the Gramian Angular Field (GAF) algorithm is also applied. Voids were simulated using PVC pipes placed at the upper (0 cm), middle (13 cm), and lower (25 cm) positions from the ground surface. Based on the measured infrared images, the CNN model achieved final classification accuracies of 56.7%, 56.7%, and 28.5% for the upper, middle, and lower voids, respectively. The corresponding AUC values were 0.29, 0.24, and 0.37, indicating low reliability. However, when the data were transformed using the GAF algorithm and then applied to the CNN, the accuracies improved significantly to 91.2%, 85.7%, and 88.7%, with AUC values of 0.92, 0.95, and 0.97,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applying CNN to GAF-transformed images, rather than raw infrared images, significantly enhances the reliability of void classification.


    기후 변화와 지하 개발 등으로 인해 지반에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적외선이 활용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 위치에 따른 열에너지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적외선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며, 시각적인 데이터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gramina angular field(GAF) 알고리즘도 함께 적용하였다. 공동은 지표면 기준 상부(0cm), 중부(13cm) 그리고 하부(25cm)에 PVC 관으로 공동을 조성하였다. 측정된 적외선 이미지를 기반으로 CNN을 적용한 결과 상부, 중부 그리고 하부의 최종 정확도는 각각 56.7%, 56.7% 그리고 28.5%였고, AUC는 0.29, 0.24 그리고 0.37로 낮은 신뢰도를 보였다. 하지만, GAF 알고리즘으로 변환 후 CNN에 적용한 결과, 정확도는 각각 91.2%, 85.7% 그리고 88.7%, AUC는 0.92, 0.95 그리고 0.97로 신뢰성이 크게 상승한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단순히 측정된 이미지보다 GAF 알고리즘을 적용한 이미지로 CNN에 적용하였을 때 공동 분류의 신뢰성이 향상됨을 시사한다.

    - COLLAPSE
    31 August 2025
  • ChatGPT-driven Numerical Modeling for Geotechnical Applications

    지반 해석을 위한 ChatGPT 기반 수치해석 모델링

    Taegu Kim, Daehyun Kim, Tae-Sup Yun

    김태구, 김대현, 윤태섭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tential and limitations of automating geotechnical numerical modeling using the large language model (LLM), ChatGPT. Two representative cases …

    본 연구는 대형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인 ChatGPT를 활용하여 지반공학 수치해석 모델링의 자동화 가능성과 한계를 분석하였다. 대표 사례로 유한차분법(Finite Difference Method, FDM) 기반 …

    + READ M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tential and limitations of automating geotechnical numerical modeling using the large language model (LLM), ChatGPT. Two representative cases were examined: seepage analysis using the finite difference method (FDM) and hydromechanical coupled settlement analysis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FEM). ChatGPT successfully generated and refined code from natural language prompts, demonstrating strengths in code structuring and iterative improvement. However, frequent errors occurred in the implementation of boundary conditions for FDM and in the mathematical formulation for FEM. Both cases required iterative debugging and prompt refinement, with expert intervention essential for ensuring physical validity in FEM. These results suggest that, with sufficient domain knowledge and well-designed prompts, LLMs can serve as effective collaborators in automating geotechnical numerical modeling.


    본 연구는 대형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인 ChatGPT를 활용하여 지반공학 수치해석 모델링의 자동화 가능성과 한계를 분석하였다. 대표 사례로 유한차분법(Finite Difference Method, FDM) 기반 침투 해석과 유한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 FEM) 기반 수리-역학적 연동 침하 해석을 선정하고, 자연어 프롬프트를 통한 코드 생성 및 반복 보완 과정을 수행하였다. ChatGPT는 코드 구조의 체계적 구성과 반복적인 수정 작업의 지원에서 강점을 보였으나, FDM에서는 경계 조건 구현 오류, FEM에서는 수치 불안정성과 약형 구성의 물리적 오류가 반복적으로 발생하였다. 두 사례 모두에서 반복적 프롬프트 보완이 필요하였고, 특히 FEM의 경우 물리적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문가의 개입이 필수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제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정교한 프롬프트 설계를 전제로 할 때, LLM이 지반공학 수치해석의 자동화에 있어 효과적인 협력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COLLAPSE
    31 August 2025
  • Optimization of DEM Pluviation Simulation for Sandy Soil Specimen Preparation Using High-performance Computing

    고성능 컴퓨팅을 활용한 사질토 시료 조성의 DEM 낙사 시뮬레이션 최적화

    Jin-Sun Lee

    이진선

    This study aims to optimize the computational efficiency and parallel scalability of the discrete element method (DEM) by utilizing high-performance computing techniques. …

    본 연구는 고성능 컴퓨팅(High Performance Computing, HPC)을 활용하여 개별요소법(Discrete Element Method, DEM)의 연산 효율과 병렬 확장성을 최적화하고자 하였다. 사질토 입자의 낙사 과정을 …

    + READ MORE
    This study aims to optimize the computational efficiency and parallel scalability of the discrete element method (DEM) by utilizing high-performance computing techniques. A DEM simulation was conducted to model the pluviation of sand particles, and several parallel processing methods, including Message Passing Interface (MPI), Open Multiprocessing (OpenMP, OMP), and Advanced Vector Extensions (AVX-512), were applied and benchmarked on Intel Xeon and AMD Threadripper CPU architectures. In particular, the application of Dynamic Load Balancing effectively mitigated computational load imbalance during MPI-based parallelization, significantly reducing total simulation time.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practical guidelines for hardware and software configurations that enhance parallel performance in DEM analysis. These insights are expected to promote more efficient use of computational resources and enable large-scale laboratory simulations of granular soil behavior.


    본 연구는 고성능 컴퓨팅(High Performance Computing, HPC)을 활용하여 개별요소법(Discrete Element Method, DEM)의 연산 효율과 병렬 확장성을 최적화하고자 하였다. 사질토 입자의 낙사 과정을 DEM해석으로 시뮬레이션하고, 다양한 병렬 연산 기법인 MPI(Message Passing Interface), OpenMP(Open Multi-Processing, OMP), AVX-512(Advanced Vector Extensions)를 Intel Xeon 및 AMD Threadripper CPU 환경에 적용하여 연산성능을 비교·분석하였다. 특히 동적 부하 분산(Dynamic Load Balancing, DLB) 기능을 통해 MPI 병렬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산 부하의 불균형을 개선함으로써 해석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DEM 해석에서 병렬연산 성능의 최적화를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설정 기준 및 벤치마킹 절차를 제시하며, 향후 사질토 입자 시뮬레이션의 실내시험 크기 확장과 연산 자원 활용의 효율화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

    - COLLAPSE
    31 August 2025
  • Development of a Rainfall Simulation Device for Centrifuge Model Experiments and Evaluation of Infiltration Behavior on Slopes during Extreme Rainfall

    원심모형실험용 강우장치 개발 및 극한강우시 사면내 침투거동 평가

    Sung-Min Yun, Yung-Jin Jeon, Ki-Hyun Chung, Jae-Hyun Kim, Byung-Su Kim, Seong-wan Park

    윤성민, 전영진, 정기현, 김재현, 김병수, 박성완

    Global warming, driven by continuous carbon emissions, has led to abnormal climate patterns worldwide and an increased frequency of extreme rainfall events. …

    지속적인 탄소 배출로 인한 지구 온난화는 전 지구적 이상기후를 유발하며, 극한강우의 발생 빈도 또한 증가시키고 있다. 이는 사면 내 간극수압을 급격히 상승시켜 …

    + READ MORE
    Global warming, driven by continuous carbon emissions, has led to abnormal climate patterns worldwide and an increased frequency of extreme rainfall events. These extreme conditions raise the risk of slope failure by rapidly increasing pore water pressure within slopes, thereby necessitating effective mitigation measures. To quantitatively evaluate slope infiltration behavior under such extreme rainfall conditions, this study developed a rainfall simulator capable of reproducing rainfall intensities of up to 100 mm/h in centrifuge model tests. The performance of the device was verified under 1 g and N g conditions. Using the developed simulator, infiltration behavior during rainfall was assessed on an infinite sandy slope. In addition, the study evaluated the penetration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slopes protected with a hydrophobic treatment, an innovative slope protection technique.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developed rainfall simulator accurately reproduced extreme rainfall scenarios, and the application of the hydrophobic treatment effectively delayed infiltration under these conditions.


    지속적인 탄소 배출로 인한 지구 온난화는 전 지구적 이상기후를 유발하며, 극한강우의 발생 빈도 또한 증가시키고 있다. 이는 사면 내 간극수압을 급격히 상승시켜 사면붕괴 위험을 높이므로 이에 대한 대응기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극한강우 조건에서 사면의 침투 거동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원심모형실험에서 최대 100mm/h의 강우를 재현할 수 있는 강우장치를 개발하고 1g 및 40g 조건에서 성능을 검증하였다. 또한, 개발된 강우장치를 이용해 사질토로 구성된 무한사면에서 강우시 침투거동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때, 지반을 소수화(hydrophobic) 처리하여 사면을 보호하는 사면보호공법 적용 시 침투 저항특성을 함께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강우장치는 목표하는 극한강우를 상사법칙에 맞게 모사하였으며, 극한강우 환경에서 소수화기법 적용은 지반 침투 거동을 효과적으로 지연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 COLLAPSE
    31 August 2025
  • Rainfall-induced Slope Stability of Panel-type Retaining Walls Based on Construction Methods

    강우시 시공방식에 따른 판넬식 옹벽 비탈면 안정성 분석

    Jae-Hong Kim, Dae-Yong Hwang, Jaw-Il Shin, Tae-Wan Kim

    김재홍, 황대용, 신좌일, 김태완

    Panel-type retaining walls are classified into top-down and bottom-up construction methods, which should be applied appropriately depending on the geometric conditions. This …

    판넬식 옹벽은 시공방식에 따라 하향식(Top-down)과 상향식(Bottom-up) 공법으로 구분되며 지형 조건에 따라 적합한 방식을 선택한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 영광군 소재의 OO현장에 설치된 판넬식 …

    + READ MORE
    Panel-type retaining walls are classified into top-down and bottom-up construction methods, which should be applied appropriately depending on the geometric conditions. This study analyzed variations in the safety factor of a panel-type retaining wall at the OO site in Yeonggwang-gun, Jeollanam-do, under actual rainfall conditions,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top-down or bottom-up). The numerical analysis considered variables including construction method, rainfall duration, field scale, and soil strength. Under the geometric conditions of this study, the top-down method satisfied the standard safety factor (Fs = 1.3) during the rainy season at every construction stage, whereas the bottom-up method failed to meet the standard safety factor starting from the first stage of construction. The retaining wall, constructed with 2-week intervals between stages, experienced a rapid decrease in the safety factor due to rainfall, showing its vulnerability in the early construction phas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confirmed that the top-down method demonstrated initial construction stability; however, the bottom-up method highlighted the risk of retaining wall collapse due to rainfall. To develop more specific design method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soil strength parameters and safety factors at each construction stage, considering variations in the slope inclination of the retaining wall.


    판넬식 옹벽은 시공방식에 따라 하향식(Top-down)과 상향식(Bottom-up) 공법으로 구분되며 지형 조건에 따라 적합한 방식을 선택한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 영광군 소재의 OO현장에 설치된 판넬식 옹벽을 대상으로 시공방식(Top-down, Bottom-up)에 따라 현장 강우를 적용하여 안전율의 변화를 해석하였다. 수치해석 조건은 시공방식, 강우조건, 현장 규모, 지반 강도 등의 변수를 고려하였다. 본 연구의 현장 지형 조건에서 Top-down 방식은 시공 단계별 조건에서 우기시 기준 안전율(Fs=1.3)을 만족하였으나, Bottom-up 방식은 1단 시공 단계부터 기준 안전율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단계별 2주 시공 기간이 적용된 옹벽은 강우로 인한 급격한 안전율 저하가 발생하여 초기 시공 구간의 취약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기 안정성 확보가 가능한 Top-down 방식이 Bottom-up 방식보다 비탈면 옹벽 시공에 유리한 방식임을 확인하였다. 향후 설계 방법들을 구체적으로 제안하기 위해서 지반 강도정수에 대한 차이와 옹벽의 비탈면 기울기 변화에 대한 시공 단계별 안전율의 상호 관계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COLLAPSE
    31 August 2025
  • Experimental Assessment of Particle Breakage in Weathered Granite Soils under Impact Loading

    충격하중에 의한 화강풍화토 입자파쇄의 실험적 평가

    Han-Gyu Yun, Inhyun Kim, Sung-Ha Baek

    윤한규, 김인현, 백성하

    In this study, weathered granite soil collected from an earthwork construction site was reconstituted into poorly graded sand (SP) and well-graded sand …

    본 연구에서는 토공사 현장에서 채취한 화강풍화토를 인위적으로 빈입도(SP) 및 양입도(SW) 시료로 조성하고, 다양한 다짐에너지를 적용하여 실내 다짐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두 시료 …

    + READ MORE
    In this study, weathered granite soil collected from an earthwork construction site was reconstituted into poorly graded sand (SP) and well-graded sand (SW) specimens. Laboratory compaction tests were conducted under various compaction energy level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particle breakage occurred in both specimens with increasing compaction energy, resulting in upward shifts i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curves and a progressive increase in the roundness of the particles. The SW specimen demonstrated a higher degree of resistance to breakage in comparison to the SP specimen. Furthermore, the occurrence of particle breakage was not uniform across all particle sizes; rather, it was concentrated within specific size bands. Initially, particles larger than 4.75 mm were predominantly broken; however, as compaction continued, particles smaller than 2.36 mm became the primary targets of breakage. The quantification of such stage-wise behavior proved to be a formidable challenge, given the limitations of existing breakage indices. Although the fractal dimension proved beneficial in examining breakage characteristics across different particle sizes, it did not align with the transition points obtained from mass-retained analysis. Consequently, the development of a novel quantitative index capable of elucidating these phenomena is imperative.


    본 연구에서는 토공사 현장에서 채취한 화강풍화토를 인위적으로 빈입도(SP) 및 양입도(SW) 시료로 조성하고, 다양한 다짐에너지를 적용하여 실내 다짐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두 시료 모두에서 다짐에너지 증가에 따라 입자파쇄가 발생하며 입도분포곡선이 우상향했고, 입자 형상은 점차 원형에 가까워졌다. SW 시료는 SP 시료보다 파쇄 저항성이 높았으며, 입자파쇄는 전 입경 범위에서 균일하게 발생하지 않고 특정 입경대에서 단계적으로 집중되었다. 초기에는 4.75 mm 이상의 굵은 입자가 주로 파쇄되었으나, 이후에는 2.36 mm 이하의 중간 입자 및 미세입자가 파쇄의 중심이 되었다. 이러한 단계별 거동은 기존 파쇄지수로는 정량화하기 어려웠으며, 프랙탈 차원은 입경 구간별 상이한 파쇄 특성을 나타내는 데 유용하나 파쇄 특성의 전환점이 잔존량 분석 결과와 일치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정량 분석 지표 개발이 필요하다.

    - COLLAPSE
    31 August 2025
  • Numerical Assessment of the Applicability of Friction-supported Monopiles under Korean Offshore Conditions

    국내 해상 지반특성을 고려한 마찰지지 모노파일의 수치해석적 적용성 검토

    Doohyun Kyung, Seung-Ha Choi, Yoonchul Shin, Hoyeop Lee, Junyoung Ko, Sang-Yeop Chung

    경두현, 최승하, 신윤철, 이호엽, 고준영, 정상엽

    This study investigates advanced numerical approaches for evaluating the ultimate lateral resistance of offshore wind turbine support structures under complex environmental loads. …

    본 연구는 복합 환경 하중 하에서 해상 풍력 지지구조물의 극한 수평 지지력을 정밀하게 평가하기 위한 수치해석 기법을 제시한다. 기존 p-y 곡선을 기반으로 …

    + READ MORE
    This study investigates advanced numerical approaches for evaluating the ultimate lateral resistance of offshore wind turbine support structures under complex environmental loads. First, a beam-spring model based on traditional p–y curves is introduced, followed by the recently developed Pile Soil Analysis model, which improves accuracy for large-diameter monopiles by incorporating field-scale experiments and high-fidelity finite element analyses. Validation is performed using centrifuge test data (T9 case), with results from 3D finite element modeling compared to those from the beam-spring analysis.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PISA-based approach more precisely captures nonlinear soil–structure interaction, enabling improved prediction of horizontal displacement and ultimate load capacity, both crucial for the safe and cost-effective design of offshore wind support structures. Furthermore, this study validates the model’s applicability to the unique geotechnical conditions of South Korea.


    본 연구는 복합 환경 하중 하에서 해상 풍력 지지구조물의 극한 수평 지지력을 정밀하게 평가하기 위한 수치해석 기법을 제시한다. 기존 p-y 곡선을 기반으로 한 보-스프링(beam-spring) 모델을 설명하고, 대구경 모노파일의 거동을 보다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는 PISA(Pile Soil Analysis) 모델을 적용하였다. PISA 모델은 실규모 실험과 고정밀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개발되어, 지반-구조물 상호작용의 비선형 거동을 정밀하게 반영한다. 모델 검증을 위해 원심모형실험(T9 케이스) 데이터를 사용하여 3차원 유한요소해석 결과와 보-스프링 모델 해석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PISA 기반 해석이 수평 변위 및 극한 지지력 예측에서 우수한 정확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해상 풍력 지지구조물의 안전하고 경제적인 설계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ISA 모델이 국내의 다양한 지반 조건에 성공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실증하여 향후 확장 적용을 위한 중요한 기술적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 COLLAPSE
    31 August 2025
  • Effect of Fine Content and Temperature on the Direct Shear Behavior of Weathered Granite Soil

    온도 및 세립분 함량에 따른 화강풍화토의 직접전단 거동 특성

    Ju-Won Ryu, Hanh Nguyen-Cong, Yong-Chai Chang, Young-Sang Kim

    류주원, 응우옌콩한, 장용채, 김영상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fine content and temperature variations caused by the operation of energy geostructures on the shear strength …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지반구조물의 운영 시 인접한 지반 내에 발생시키는 온도 변화가 화강풍화토의 전단강도 및 전단 시 체적 거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

    + READ M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fine content and temperature variations caused by the operation of energy geostructures on the shear strength and volumetric change of weathered granite soil (WGS) under direct shear testing. A series of thermomechanical direct shear tests were performed by varying fines content (5%, 15%, 25%), moisture condition (dry, saturated), and temperature (20°C, 40°C, 60°C). A custom-designed thermal direct shear box, equipped with a water circulation system, was used to simulate realistic heat transfer mechanisms of ground heat exchanger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under dry conditions, temperature changes had negligible effects on shear strength, volumetric behavior, and internal friction angle. In contrast, under saturated conditions, increasing temperature significantly increased shear strength, dilative behavior, and internal friction angle. Furthermore, the internal friction angle tende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fines content. Moreover,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nsights into the thermomechanical behavior of WGS under various field-relevant conditions and offers a design basis for energy geostructures applicable to domestic ground conditions.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지반구조물의 운영 시 인접한 지반 내에 발생시키는 온도 변화가 화강풍화토의 전단강도 및 전단 시 체적 거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세립분 함량(5%, 15%, 25%) 및 습윤 조건(건조, 포화), 온도(20°C, 40°C, 60°C)를 변수로 설정하고, 실제 에너지 지반구조물 내의 열전달 조건을 모사할 수 있도록 새롭게 제작한 물 순환식 온도 조절 직접전단박스를 이용하여 광주광역시 지역의 화강풍화토에 대한 열-역학적 직접전단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건조 상태에서는 온도 변화가 화강풍화토의 전단강도 및 전단 시 체적 거동, 내부마찰각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였다. 반면, 포화 상태에서는 온도 상승에 따라 전단강도, 전단 시 체적 그리고 내부마찰각이 모두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한, 내부마찰각은 세립분 함량 증가에 따라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세립분 함량과 온도 조건을 동시에 고려한 화강풍화토의 전단 특성 평가를 통해, 국내 실정에 적합한 에너지 지반구조물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COLLAPSE
    31 August 2025
  •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Assisted Automation Grouting System and its Field Applicability Evaluation

    인공지능(AI) 기반 그라우팅 자동화 기술의 개발 및 현장 적용성 평가

    Seok-Hyun Kim, Young-Uk Kim

    김석현, 김영욱

    This study evaluates the injection performance of a newly developed artificial intelligence (AI)-assisted automated grouting management system. Modern grouting technologies have evolved …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개발된 AI 기반 자동 그라우팅 관리 시스템의 주입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현대 그라우팅 기술은 1세대부터 4세대까지 다양하며, 본 연구에서 …

    + READ MORE
    This study evaluates the injection performance of a newly developed artificial intelligence (AI)-assisted automated grouting management system. Modern grouting technologies have evolved from the first to the fourth generation, and the proposed system represents a next-generation advancement through real-time optimization using AI algorithms. A comparative field test was conducted under identical geotechnical conditions by applying both conventional and AI-based technologies simultaneously. Field application of the system in a road section in Namhae demonstrated superior efficiency in terms of injection volume, time, and permeability reduction, confirming the system’s effectiveness and practical applicability in geotechnical engineering.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개발된 AI 기반 자동 그라우팅 관리 시스템의 주입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현대 그라우팅 기술은 1세대부터 4세대까지 다양하며, 본 연구에서 제안된 시스템은 AI 알고리즘을 활용한 실시간 최적화 기술로 차세대 자동화 그라우팅 기술로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 기술과 AI 기반 기술을 동시에 적용하여 동일한 지반 조건에서 주입성능 등을 비교하는 현장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개발된 기술의 현장 적용성을 고찰하였다. 남해군 00도로 구간에 개발된 시스템을 적용한 결과, 기존 기술 대비 주입량, 주입 시간, 그리고 투수율 감소 측면에서 탁월한 효율을 나타내어 지반 공학 분야에서 본 시스템의 효과성과 실용성을 확인하였다.

    - COLLAPSE
    31 August 2025